2012년 8월 1일 수요일

공유경제

공유경제

Rachel Botsman : The case for collaborative consumption 정리


http://www.ted.com/talks/lang/en/rachel_botsman_the_case_for_collaborative_consumption.html 공유경제 현상의 과정

1. Cloud Power (대중의 지혜)

똑똑한 군중 (Smart Mobs) 지도자 없이 디지털 네트워크를 활용해 스스로 조직화하는 사회집단

대통령선거, 위키피디아와 같이 다수의 힘이 만들어 낼 수 있는 것에 대한 모든것들

2. Power in Number

일인 미디어의 시대

3. peer to peer Revolution

경이로운 속도의 공유

피어투피어: PC 대 PC, 개인대 개인처럼 서버의 도움없이 1:1의 통신을 하는 관계

4. Digital Natives

Y 세대: 파일, 게임, 지식을 자유롭게 공유하며 제 2의 천성을 형성

'나'의 시대에서 '우리'의 시대로 발전

5. Mobile Collaboration

연결된 시대, 개인 디바이스의 발전과 SNS의 대중화

모두와 실시간으로 연결 되어있음

6. Ponzi Schemes.

경제불황/대자연의 현재의 과잉소비의 형태로 일종의 폰지사기, 사상누각

폰지 사기: 신규 투자자의 돈으로 기존 투자자에게 이자나 배당금을 지급하는 방식의 다단계 금융사기

협력소비화 되는 4가지

(아래 4가지 동인들이 접합되고 과잉소비로 정의되는 20C로부터 벗어나 협력적 소비로 정의 되는

21C를 향하는 큰전환을 만들어 냄)

1. 공동체의 중요성에 대한 새로운 마음

: 친구, 이웃의 진짜 의미에 대한 재 정의

2. Peer to Peer의 소셜네트워크와 실시간 기술들의 급물살은 근복적으로 우리가 행동하는 방식을 변화

3. 미해결의 환경적 우려를 압박

4. 소비자 행동에 근본적으로 충격을 준 세계적 불황

3가지 명확한 시스템 조직화

1. 재 분배 시장 (Redistribution Market)

e.g. Swaptree : 개인의 물건을 교환, 필요없는 물건을 필요한 누군가와 교환

4R : Reduce, Reuse, Recycle, Repair = Redistribution

제품의 생명 주기를 연장, 쓰레기 최소화

2. 협력적 생활방식 (Collaborative Life Style)

돈, 시간, 기술과 같은 자원의 제공과 공유

e.g. 협업, 카우치서핑, 타임뱅크, Land Share

카우치 서핑: 여행하고자 하는 곳의 현지인의 도움을 받아 무료 숙박 및 가이드 까지 받을 수 있는

여행자를 위한 비영리 커뮤니티

타임뱅크 : 특정한 서비스나 기술 등을 제공하고 그 시간만큼 다른 사람의 도움을 요청할 수 있는

일종의 서비스 교환은행

Land Share : 뒷 정원에 여분의 땅을 가진 존슨씨와 경작을 원하는 스미스여사를 연결 시켜 줌

그들은 스스로를 위한 식량을 함께 재배함

3. Product Service System

제품 서비스 시스템 : 상품의 효용에 대해 지불 함(제품을 소유할 필요없이 사용)

이 아이디어는 높은 유휴 생산능력을 가지고 있는 것들에 특히나 효과적

(유아용품, 패션 등)

e.g. 파워드릴의 생명주기는 12~13분 정도에 불과함

원하는 것은 구명이지 드릴이 아님.

협력 경제의 예시

zipcar, goget (차량공유회사)

- 일반 자동차 소유 시 1년 8000$ 소요

- 자동차는 하루 23시간은 사용하지 않음

- 2009년 차량공유회사의 시장진입

- zipcar는 13개 도시에서 250명의 참가자 모집

(참가자는 모두 자인하는 자동차 중독자이며 자동차 공유 경험 무)

- 한 달간 zipcar에서 자동차키 보관, 걷거나 자전거, 기차, 대중교통 이용 함

- 필요시 zipcar의 Membership사용

- 도전 시작 후 한달 만에 나온 결과


413파운드 체중감량 등의 성과와

250명중 100명의 참가자는 자동차 키를 돌려받기를 원하지 않음

(자동차 사용자들이 소유에 대한 욕구를 잃음)

뉴욕타임즈 >>

소유하는 것에 대해 공유하는 것은 카세트테이프에 대한 ipot이며 관산에 대한 태양광 같은 것

- 우리는 더이상 물건을 원하지 않고 필요나 경험을 원함

- 인터넷을 통한 평판자산의 형성, 우리의 신용 평가와 같이 강력한 새로운 소셜통화

- 무가치와 낭비의 거구한 구시대의 유물에서 깨어나고 있는 시대에 살고 있다고 믿는다.

- 우리는 지역사회와 개개인의 정체성을 위한 우리의 본질적 필요를 지원하기 위해 만들어진

보다 지속하능한 시스템을 이루어 내기 위한 도약 중

- 사회가 개개인이 집단의 선(善)의 재발견을 향해 나아가고 소비하는 것으로 부터

큰 변동을 만들어 내는 거대한 도전에 직면 할때, 말하자면 그것을 혁명이라고 부를 수 있다고 믿음

- 공유를 알리는 사명에 매진, 시대에 뒤쳐진 형태의 일들을 중단, 과잉소비의 낭비 형태을 넘어

우리에게 충분하다는 것이 무엇인지 알려줄 것이다 믿는다.

2011년 11월 2일 수요일

Oct. 2011 Online SNS MKT CASE

쉐보레 _ lets do this
- 소셜 게임 게임런칭의 홍보의 일환으로 이슈를 위한 바이럴 마케팅 용 데몬스트레이션 영상 제작
- 타겟 층에 맞는 온라인 소셜 캠페인으로 비디오 컨텐츠를 활용한 개인 네트워크 확산 및 참여 유도


미국 GM이 2012 쉐비 소닉 (국내명 '쉐보레 아베오')의 홍보를 위해 대담한 시도 (9월 22일 아리조나 사막에서 실제로 진행된 데몬스트레이션)
소닉에 낙하산을 메달아 수송기에서 떨어뜨린 영상은 18~30세 목표 고객을 사로잡기 위해 10월 중순 시작된 쉐보레 소닉의 다단계 광고 캠페인 및 소셜 게임 'Let's Do This'의 일환

소셜 게임 'Let's Do This’ 이미지 소셜게임으로 참가자의 공감을 많은 얻는 재미있는 사진을 선정하여 우승자에게 자동차를 증정
자신이 획득한 뱃지와 소셜 Love it 점수를 합산하여 랭크함


Promotion Site URL


소셜 게임 'Let's Do This’설명 영상






Instagramory (Memory Game)
- 이미지 소셜플랫폼인 인스타그램에서 이미지에 달린 태그를 크롤링한 게임 진행
- 정해진 게임스토리가 아니라 사용자가 지정한 키워드로 게임을 진행
아우디 30만 팬 기념 이벤트로 진행된 메모리게임
사용자가 원하는 키워드를 입력하고 게임을 시작
해당 키워드로 등록된 사진을 인스타그래모리에서 크롤링하여 게임 구성
각 빈 네모를 클릭으로 뒤집으며 같은 그림을 맞춰 나가는 게임





Take This Lollipop
‘Take This Lollipop’이라는 사이트는 할로윈을 기념하여 페이스북 사용자들을 위한 사이트

페이스북을 이용해 짧은 호러 영화에 사용자를 출연 출연하는 방법은 사이트에 들어간 후, 사용자의 페이스북 정보를 볼 수 있도록 수락하며 영화가 시작됨. 영화에서는 어두컴컴한 방에서 정신병자처럼 보이는 으스스한 남자가 당신의 페이스북 정보를 이것저것 뒤져보면서 불안에 떨며 이상한 행동을 하기 시작. 영화의 내용자체는 그리 무섭지 않으나, 정신병자 같은 남자가 당신의 개인정보를 철두철미하게 관찰하고 있다는 사실이 사람들을 섬뜩하게 함.

영화 감상에 사용된 페이스북의 정보는, 영화를 위해서만 쓰여 질뿐 다른 용도로는 절대 사용되지 않음을 명시함

http://www.takethislollipop.com/




Ford Motor Company _ PICK A BADGE
아 역시 포드의 소셜 마케팅~ 페이스북을 통해 사용자에게 뱃지를 수여! 각 태마에 맞는 다양한 뱃지를 구성,
팬들이 직접 다운로드 (다양한 사이즈의 이미지 제공)하거나 SNS를 통해 공유하도록하여 브랜드 충성도를 올림


Granata Pet _ Check in! Snack Out!
- 중앙서버를 활용하여 빌보드와 포스퀘어를 연동한 이벤트
- 지역과 위치를 기반으로 한 실시간성 마케팅으로 참가자들은 재미있는 체험과 함께 자신의 네트워크를 활용한 자발적 홍보활동 유도


독일 프리미엄 애완동물 식품 브랜드인 GranataPet 의 프로모션 사례Check in! Snack Out!
소셜 미디어인 Foursquar 체크인을 유도하는 옥외광고 판 앞에서 체크인하면 광고 앞에 설치된 밥그릇에서
시식용 개 사료가 나옴
체험용으로 나온 사료를 맛있게 먹는 강아지를 보고 근처 매장으로 방문하여 사료구매를 유도하는 마케팅
Promotion Site URL
http://www.youtube.com/watch?v=t8dmjoqOOQo&feature=youtu.be
http://www.agenta-agenturgruppe.de




Augmentted Reality Cinema
- 위치기반(LBS) 및 증강현실 (AR)기능을 접목한 엔터테이먼트 APP
- 지역 명소를 찾아주는 기능으로 사용자 주변의 영화 촬영 장소를 찾아주고 해당 영화의 촬영 모습을 실시간으로 확인



런던 시내에 숨겨진 명소를 소개
스마트폰이 위치를 감지해 스팟을 알려주고 영화를 찍은 위치에서 App을 실행하면 영화 속 한 장면을 재생시켜줌
AR기능으로 영화 속에 친구가 나오는 장면을 연출 할 수 있음

Vodafone _ “Buffer Busters” Mobile Gaming App
- 스마트 폰 위치기반과 증강현실 기능을 이용, 오프라인에서 두발로 뛰며 게임에 임하는
새로운 방식의 소셜모바일게임
- 오프라인에서 증강현실을 통한 게임으로 획득한 몬스터를 포인트와 교환하는 리테일에 성공



증강현실과 위치기반을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 속에 있는 가상의 몬스터를 실제 오프라인에서 잡는 게임
지도를 실행 시켜 몬스터가 집중해 있는 지역을 파악하고 직접 위치로 이동하여 AR로 나타나는 몬스터를 잡음
매장 마다 위치해 있는 QR코드를 인식시켜 잡은 몬스터를 포인트와 교환하는 방식으로 진행 됨

Promotion Site URL
http://www.vodafone-bufferbusters.de/index_en.html#index
http://www.facebook.com/vodafoneDE


THE FRANCHISE on SHOWTIME® at The MLB Fan Cave

센프란시스코 방송국 쇼타임에서 자이언츠를 다룬 리얼 TV 시리즈 물을 홍보를 위한 포스퀘어 이벤트 프로모션 진행
해당 매장 앞에서 포스퀘어 체크인을 하면 Vending Store 에서 야구공을 획득, 운이 좋으면 유명 선수의 싸인이 담긴 야구공을 획득하게 됨


Promotion Site URL
https://ko.foursquare.com/v/the-franchise-on-showtime-at-the-mlb-fan-cave/4df91d818130130a73b6382e



NIKE_ Grid
- 실제 도시를 하나의 게임판으로 설정하여 LBS기능의 소셜미디어인 포스퀘어 스타일을 사용한 브랜드 소셜캠페인
- 브랜드 제품과 오프라인 소셜게임을 자연스럽게 연계하여 사용자의 브랜드 체험 및 네트워크 확산을 유도


LBS기능과 포스퀘어 스타일을 배지획득 스타일을 활용한 나이키 런던의 브랜드 소셜 캠페인으로 2주간 진행 됨
48개의 Postcodes로 나누고 각 각의 Postcodes에는 4개의 공중 전화 박스에 참가자의 코드를 입력하면 게임의 적립포인트와 배지를 획득
작동원리: 도시주변의 공중전화박스는 게임의 부분으로 선택되어 플레이어는 공중전화박스를 방문하여 자신의 고유한 전화번호를 다이얼하여 포인트 획득, 다른 공중전화로 이동 거기에 다시 자신의 코드를 입력하여 포인트를 적립이나 배지를 획득
빠르게 이동하고 지역을 많이 획득하는 형태로 사용자들 끼리 시간을 체크하여 순위를 메기는 형식
공중전화 사이를 뛰어다니며 미션을 수행하는 형태로 이벤트 진행 사항을 페이스북에 중계
24시간 동안 런던 거리의 공중전화와 공중전화 사이를 달리며 게임
전화박스에 체크인 하면 포인트 획득
스피드, 지구력, 스테미너에 대한 배지도 얻을 수 있음


The Volkswagen Beetle_ Juiced Up
- 증강현실과 옥외광고의 결합으로 더욱 인터렉티브한 새로운 디지털 체험을 제공
- 제품과 새로운 기능을 접목하여 소비자의 즐거운 체험을 유도

폭스바겐 캐나다(Volkswagen Canada) New Beetle의 옥외광고 증강현실 광고 캠페인
New Beetle의 옥외광고판에 Juiced Up 카메라를 비추면 New Beetle이 증강현실기능을 통해 재주를 부린다는 컨셉
스마트 폰이나 타블렛 PC에 Juiced Up App을 다운받아 광고를 비추면 다양한 그래픽으로 제작된 3D AR 퍼포먼스를 체험
데모 영상 마지막에 AR 컨셉별로 체험 할 수 있도록 인터렉션 요소 삽입하여 온라인을 통해서도 실행 시켜 볼 수 있도록 빌보드 이미지를 제공함



Go Airlines _ Mobile Controlled Banner Game
- 온라인 배너와 웹사이트를 배경으로 사용자의 휴대폰으로 작동한 비행기 게임
- 새로운 방법의 Advergame으로 모바일을 이용한 서비스 이용을 알리는 온라인 마케팅

온라인 배너에 휴대폰 번호를 입력하여 사용자의 휴대폰을 이용해 게임
참가자는 별도의 장치 없이 휴대폰의 키패드를 조작하여 온라인 사이트를 누비며 비행기 게임을 할 수 있음
비행기 조종으로 전체 웹사이트를 이동하면서 여행사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음
모바일을 이용해 각종 여행관련 패키지 상품을 신청할 수 있다는 점을 유저가 직접 체험해볼 수 있도록 한 아이디어



Volkswagen Canada _ 'Art Heist'
- 도심 한복판에 브랜드의 아트 작품을 전시하고 불특정 다수의 사람들에게 게릴라 캠페인
- 새로운 프로모션 활동으로 브랜드 메시지를 알리고 대중에 확산하는 브랜드 소셜캠페인


2012년 형 VW Jetta CLI 게릴라 캠페인 프로모션
2011년 10월 초 캐나다 주요 도시 곳곳에 팝업 퍼포먼스 "Light Painting" 아트 갤러리 연출
이번 캠페인은 아무도 예상치 못한 장소에서 진행되며 이 작품에는 마치 작가가 자신의 작품을 증명하기 위해 표식을 하듯 손 글씨로 일련번호가 적혀있고 전시된 작품은 누구나 몰래 가져가기 쉽도록 안정장치 없이 노출
액자 뒤에는 작품을 가져간 사람들이 자신의 집의 거실 등에 디스플레이 해두거나 가지고 있다는 증명 사진들을 직접 촬영해 폭스바겐의 FB과 TW(#VWArtHeist)에 직접 올리도록 안내

Light Painting: Motion and long-exposure 기법의 특수 촬영을 통해 VW Jetta CLI가 드라이빙하는 동안 헤드라이터의 스트림이 폭스바겐의 엠플럼을 형상화 하는 모습을 한밤에 촬영한 환상적인 작품 Driving can be beautiful




Tesco_ AR Print Ads
- 스마트폰 사용자에게 신개념 증강현실 광고를 제공하여 더 많은 정보를 제공하여 리테일로 연결
- 정보를 읽기만 하는 광고에서 사용자가 직접 체험하는 인터렉티브 AR기능으로 더 많은 정보를 전달
영국 테스코는 신문이나 옥외광고판, 프린트광고지를 통해 AR을 체험하고 곧바로 원하는 페이지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신개념 광고 캠페인을 시도
프린트 된 광고를 해당 App을 통해서 비추면 3D영상이 플레이 되고 영상 속 버튼을 누르면 해당 웹 페이지로 이동하여 쿠폰을 발행하거나 정보 제공





Audi _ Closed Course: An Interactive A6 Driving Video
- 인터렉티브 영상을 통해 신차의 성능을 체험해 볼 수 있는 소셜캠페인


Interactive YouTube Driving Experience
A6의 드라이빙 영상을 보면서 설정된 키보드 자판을 누르면 해당 구간으로 돌아가 다시 재생 (원하는 기능부분 보기가 가능)
1 = Left Turn
2 = Right Turn
3 = Slalom (Left)
4 = Slalom (Right)
5 = Water Hazard
6 = Lane Change (Left)
7 = Lane Change (Right)
8 = Hairpin Turn
9 = Speed Boost





KLM _ Surprise
- 소셜 미디어를 활용해 개인과 기업이 아닌 개인과 개인의 커뮤니케이션 형태의 고객 감동 소셜 캠페인
- LBS기능과 소셜미디어의 실시간성을 활용 사용자의

포스퀘어를 통해 KLM항공에 체크인 하는 사람들을 모니터링 하기 시작, 그들 중 KLM과 Mention 하는 사람들을 또 분류하여 실제 KLM이용 고객을 분류
분류된 고객 중 SNS정보를 통해 고객의 흥미나 활동, 성격을 바탕으로 하여 그들에게 줄 작은 선물을 준비하여 비행기를 기다리는 승객에게 직접 가져다 줌







KLM _ Tile & Inspire 캠페인
-KLM 항공사는 페이스북의 Fan Crowd sourced를 통해 실제 항공기에 팬들의 얼굴을 새겨주는 소셜 캠페인 진행
- 간단한 페이스북 App작동으로 개인의 네트워크를 통해 확산하는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향상한 인터렉티브 프로모션 진행

KLM은 페이스북 App을 사용하여 fan들이 사진을 delft tile 스타일로 꾸며서 올릴 수 있게 만들어 주었으며, 실제 KLM의 보잉 777-200기에 새겨 질 수 있는 기회도 부여하였습니다.
KLM이 그들의 fan들을 참여시켰을 뿐만 아니라, KLM의 brand identity를 단번에 재확인 시켜주었다는 점에서 훌륭한 사례라 생각됩니다.

Promotion Site URL
캠페인 사이트 http://www.tileyourself.com/
페이스북 http://www.facebook.com/KLM
페이스북 어플리케이션 http://apps.facebook.com/tileyourself/
기사 http://www.digitalbuzzblog.com/klm-facebook-app/
http://www.youtube.com/watch?feature=player_embedded&v=aP_bN4xww9s





KLM_ Live Reply
- 소셜미디어의 실시간성을 활용한 기업의 서비스 마인드를 재미있는 소셜 퍼포먼스를 활용해 전달
- 실제 기업과 소비자간의 소셜미디어를 통한 커뮤니케이션에 대처하는 직원들의 자세를 전달하는 소셜 캠페인
KLM은 하루 동안 고객님들의 트윗을 통한 질문에 실제로 KLM직원들이 알파벳카드로 문구를 제작하여 답변(리플라이)을 제공
이번 캠페인은 그들의 소셜미디어 서비스를 강조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음.
KLM의 140명의 소셜미디어 전담 팀은 24시간 소셜미디어를 통해 고객들에게 도움을 줄 수 있다는 메시징







Ford Fiesta _ Fiestagram



포드는 이미지 공유 소셜미디어인 Instagram과 함께 Fiestagram이라는 컴페티션 개최
참가 방법은 Instagram을 이용하여 재미있는 이미지 혹은 피에스타를 나타내는 스냅샷을 게시하고 페이스북에 포스팅
페이스북에 #Fiestagram 해시태그를 포함한 이미지를 게시하거나 Ford Fiesta Facebook Application을 이용하여 게시
피에스타의 특징을 나타내는 카테고리를 지정 (#Starting, #Hidden, #Listening, #Entry, #Music, and #Shapes) 한 주씩 진행

Promotion Site URL
http://www.facebook.com/fordfiesta?sk=app_114120472024228

2011년 10월 25일 화요일

쉐보레 _ lets do this

쉐보레 _ lets do this
- 소셜 게임 게임런칭의 홍보의 일환으로 이슈를 위한 바이럴 마케팅 용 데몬스트레이션 영상 제작
- 타겟 층에 맞는 온라인 소셜 캠페인으로 비디오 컨텐츠를 활용한 개인 네트워크 확산 및 참여 유도




프로모션 상세 내용
미국 GM이 2012 쉐비 소닉 (국내명 '쉐보레 아베오')의 홍보를 위해 대담한 시도 (9월 22일 아리조나 사막에서 실제로 진행된 데몬스트레이션)
소닉에 낙하산을 메달아 수송기에서 떨어뜨린 영상은 18~30세 목표 고객을 사로잡기 위해 10월 중순 시작된 쉐보레 소닉의 다단계 광고 캠페인 및 소셜 게임 'Let's Do This'의 일환
http://letsdothis.com/

소셜 게임 'Let's Do This’
이미지를 활용한 소셜게임으로 참가자의 공감을 많은 얻는 재미있는 사진을 선정하여 우승자에게 자동차를 증정
자신이 획득한 뱃지와 소셜 Love it 점수를 합산하여 랭크함

2011년 10월 24일 월요일

KIA_A NEW WAY TO ROLL 캠페인

- 신차의 컨셉을 전달하는 바이럴 영상으로 매년 시리즈로 제작하여 바이럴 확산
- 햄스터을 의인화 하여 트랜드에 맞춘 다양한 시로도 소비자의 공감 상승




프로모션 상세 내용


1ST 2009 A NEW WAY TO ROLL 수 십마리의 햄스터들이 무료하게 쳇바퀴를 타는 도로위에서 스타일리쉬하게 쏘울을 타며 주목 받는, 최신 유행을 즐길 줄 아는 햄스터 무리의 모습을 정교한 컴퓨터 그래픽을 이용한 재미있는 연출


2ST 2010 THE CHOICE IS YOURS BY BLACK SHEEP 90년대 힙합 그룹 Black Sheep의 음악으로 뮤직비디오형식의 광고 제작 도로 위에서 토스터기계, 세탁기, 카드보드 박스 등을 타는 일반 햄스터 들과 달리(평범하고 개성 없는 디자인의 자동차를 타는 사람들에 비유) 개성인고 감각적인 유행을 반영한 소울을 타는 힙합스타일의 햄스터들을 주인공으로 묘사함


3ST 2011 SHARE SAME SOUL 일렉트로팝 가수 LMFAO의 PARTY ROCK ANTHEM(http://www.youtube.com/watch?v=KQ6zr6kCPj8&feature=youtu.be )을 광고에 등장시켜 햄스터들이 스타일리쉬한 셔플댄스를 추며 외계 로봇들간에 전쟁을 즐겁고 흥겨운 일렉트로팝 파티의 공간으로 바꾸어 놓는다는 스토리 유튜브, 페이스북과 함께 셔플댄스 비디오 콘테스트 진행


2011 셔플댄스 비디오 콘테스트 진행
http://www.youtube.com/KiaSoul

2011년 10월 12일 수요일

항공사 KLM의 소셜마케팅 케이스

KLM 항공사에서 고갱님을 위한 서프라이즈~ 이벤트를 진행했네요
포스퀘어를 통해 KLM항공에 체크인 하는 사람들을 모니터링하기 시작, 그들중 KLM과 멘션하는 사람들을 또 분류하요 실제 KLM이용 고객을 분류합니다
거기서 끝나는게 아니라 그사람의 SNS를 통해 고객의 흥미나 활동, 성격을 바탕으로 하여 그들에게 줄 작은 선물을 준비하여 비행기를 기다리는 승객에게 직접 가져다 줍니다~




KLM_Tile & Inspire 캠페인
KLM은 페이스북 App을 사용하여 fan들이 사진을 delft tile 스타일로 꾸며서 올릴 수 있게 만들어 주었으며, 실제 KLM의 보잉 777-200기에 새겨 질 수 있는 기회도 부여하였습니다.
KLM이 그들의 fan들을 참여시켰을 뿐만 아니라, KLM의 brand identity를 단번에 재확인 시켜주었다는 점에서 훌륭한 사례라 생각됩니다.
캠페인 사이트 http://www.tileyourself.com/
페이스북 http://www.facebook.com/KLM
페이스북 어플리케이션 http://apps.facebook.com/tileyourself/
기사 http://www.digitalbuzzblog.com/klm-facebook-app/
http://www.youtube.com/watch?feature=player_embedded&v=aP_bN4xww9s




KLM_LIVE TWEET
KLM은 하루동안 고갱님들의 트윗을 통한 질문에 실제로 KLM직원들이 알파벳카드로 문구를 제작하여 답변(리플라이)을 제공해 주었습니다.
이번 캠페인은 그들의 소셜미디어 서비스를 강조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음.
KLM은 24시간 소셜미디어를 통해 고객들에게 도움을 줄수 있다는 메시지를 담고 있습니다
http://www.youtube.com/watch?feature=player_embedded&v=8JCaI8qjXrs

funny Video

섹시한 몸매의 여성들을 훔쳐보는 남성들의 모습을 몰래카메라로 촬영했던 리바이스의 기발한 바이럴 영상 " Rear View Girls"

2011년 칸광고제 필름부문 SILVER수상작 선정.지금봐도 재미있다.

http://www.youtube.com/watch?v=nYVT4176ONc&feature=player_embedded